함수란?
사용자가 입력값 X를 넣으면 정해 놓은 출력값 Y가 나오는 개념
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, 숫자, 날짜 값 등을 조작할 수 있으며, 각 데이터 타입 끼리 변환 할 수도 있다.

- 단일행 함수 : 데이터 값을 계산하거나 조작
- 그룹 함수 : 행의 그룹에 대해 계산하거나 요약
- 열의 데이터 타입 변환 즉, 날짜와 숫자 등 데이터 타입을 상호 변환
< 문자타입함수 >
- 문자 타입 함수는 주로 데이터 조작에 사용.
- 문자, 문자열 테이터는 작은 따옴표('')로 묶어서 표현
1) LOWER('문자열' / 열이름) : 소문자로 변환

2) UPPER('문자열'/열이름) : 대문자로 변환

3) INTICAP ('문자열'/열이름) : 첫번째 문자만 대문자로 변환


4) SUBSTR : 지정한 길이만큼 문자열 추출하기
SUBSTR ('문자열' / 열 이름 , 시작위치, 길이)
|

* AS 별칭 만들기, 생략 가능.

5)REPLACE : 특정 문자를 찾아 바꾸기
REPLACE( '문자열' / 열 이름, '바꾸려는 문자열', '바뀔 문자열')
|

6)LPAD/RPAD : 특정 문자로 자릴수 채우기
LPAD( '문자열' / 열 이름, 만들어질 자릿수, '채워질 문자')
|


'IT > 내게로 오라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. 날짜 타입 함수 (0) | 2022.05.24 |
---|---|
6. 숫자 타입 함수 (0) | 2022.05.24 |
4.집합 연산자 (0) | 2022.03.22 |
3.WHERE절과 연산자 (0) | 2022.03.22 |
2. SELECT문 기본형식 (0) | 2022.03.22 |